공부/Signals and Systems
-
[Signals and Systems]신호의 변복조 특성들(Double Sideband modulation)공부/Signals and Systems 2021. 9. 30. 17:59
신호및 시스템에서 배운 신호들을 변조 및 복조하는 경우가 생긴다. 그 이유는 1. 다른 신호들을 함께 묶어서 보내기 위해 2. noise(잡음)을 최소한으로 막기 위해 3. 신호를 잘 방사하도록 하기 위해 라고 볼 수 있겠다. 즉, 변조(modulation)는 특정 신호를 다른 영역의 주파수로 옮기는 것을 뜻하며, 복조(demodulation)는 반대로 원래 자리로 신호를 옮기는 것을 뜻한다. 여러 신호가 존재하듯이 변조할 수 있는 신호들과 그 결과도 너무 무궁무진하다. 변조는 채널과 신호의 특성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하기 때문에, 그 중 중요하고 자주 쓰이는 것들만 정리해 볼 예정! 1. Double SideBand modulation Double Sideband modulation은 글자 그대로 변조를..
-
[Signals and Systems]푸리에급수의 특성들 정리/선형성,shifting,conjugate,scaling,파시발 정리 등등..공부/Signals and Systems 2020. 9. 11. 22:40
푸리에급수 그리고 푸리에변환은 신호처리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는데, 우선 오늘은 푸리에급수 정리. 아니 작년 이맘때쯤 강의 들었는데 이번에 교수님이 설명해주실 때 들으니까 또 새로운 기분은 뭘까.. 우선 강의노트 왼쪽에 별표시 되어있는 게 요약한 거다. coswt와 sinwt를 바꾸는 방법에 대해서는 당연히 알아야 하는 것이고 (알아야 하는데 자꾸 둘이 바꿔서 생각하게 됨 왜인지는 모름) 아래 식은 x(t) 즉 푸리에급수와 ak 즉 푸리에계수에 대한 설명 ! 푸리에급수(Fourier Series)는 주기신호를 다루는 것이다. 반대로 푸리에변환(Fourier Transform)은 비주기신호를 다루는 것. 사실 아래에서 설명할 것들은 푸리에 급수와 푸리에계수의 공식들에 하나하나 대입하면 나오긴 하는데 일단 정..
-
[Signals and Systems]미분방정식과 차분방정식의 일반해 정리공부/Signals and Systems 2020. 9. 8. 21:54
기본적으로 미분방정식은 연속, 차분방정식은 불연속일 때 이다 두 방정식 모두 해는 다음과 같은 형태를 띈다. y(t) = yh(t) + yp(t) - constant y[t] = yh[t] + yp[t] - discrete (yh는 homogeneous, ypt는 particular) homogeneous와 particular solution을 각각 구한 후 더해주면 해가 완성된다 ! 1. 미분방정식(Linear, Constant-coefficient,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) (1) homogeneous : Ce^-at의 형태에서 a를 구한다 a는 주어진 방정식에서 구하면 된다 (노트참고) y'(t)=S, y(t)=1로 치환해준다고 쉽게 생각하면 될 듯. (a랑 S랑 같..
-
[Signals and Systems] 신호및시스템의 성질들 정리공부/Signals and Systems 2019. 12. 25. 22:58
System들이 연속, 그리고 이산시간에서 가지는 특성들을 정리해보자. 우선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을 것이다. 1. Memory/Memoryless 2. Casual/Non-Casual 3. Invertibility 4. Stability 5. Time invariance 6. Linearity 이것들을 판별하고, 증명하는 방법은 꽤 중요하다.. (그리고 나한테는 조금 헷갈려서 잘 알아둬야할 것 같다..ㅠㅠ) 1. Memory/Memoryless (메모리의 유무) System이 과거의 값 혹은 미래의 값에 의존한다면, 이는 메모리가 있다고 판단하면 된다. 즉, y[n]=y[n-2]+x[n] 이라는 system은 n이 현재이고, n-2는 과거이므로 이 system은 memory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..